✅ 2025 경기도 청년지원금 총정리|기본소득부터 주거·취업까지!
경기도는 전국 최대 광역자치단체답게, 청년을 위한 현금성 지원 정책이 풍부합니다.
기본소득, 주거, 취업, 금융,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지원금이 준비되어 있는데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경기도 청년을 위한 대표 지원 제도들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🔹 1. 청년기본소득 (만 24세 청년 지원금)
대상: 만 24세 경기도 거주 청년 (최근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)
금액: 분기별 25만 원 × 연 4회 → 연 100만 원
형태: 경기지역화폐 (카드 or 앱)
신청: 분기별 온라인 접수 → 청년기본소득 홈페이지 (apply.jobaba.net)
🔹 2. 청년면접수당
대상: 만 18~39세 경기도 거주 미취업 청년
조건: 면접 1회 이상 참석 → 증빙 제출
금액: 면접 1회당 5만 원 (최대 15만 원, 3회)
형태: 경기지역화폐 지급
신청: 잡아바(Jobaba) 내 청년면접수당 페이지
🔹 3. 청년 복지포인트
대상: 경기도 중소기업 재직 청년 (만 18~34세)
금액: 연 120만 원 상당 복지포인트 (2년간 최대 240만 원)
조건: 1년 이상 근무 지속 시
용도: 문화생활, 건강관리, 자기계발 등에 사용 가능
신청: 청년복지포인트 전용 홈페이지
🔹 4. 청년 노동자 통장 (자산형성 지원)
대상: 만 18~34세 청년 근로자, 월급 250만 원 이하
내용: 월 10만 원 저축 → 도+기업이 월 최대 14만 원 추가 지원 → 2년 후 최대 580만 원 적립
조건: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/ 중도해지 시 환수 가능
신청: 경기도일자리재단에서 연 1~2회 공개모집
🔹 5. 청년 면접정장 무료 대여
대상: 경기도 거주 만 18~34세 구직 청년
내용: 면접용 정장 연 3회 무료 대여
신청방법: 온라인 예약 → 오프라인 방문 대여
신청처: 잡아바 - 면접정장대여 페이지
🔹 6. 청년 주거지원 (임차보증금 이자 지원)
대상: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
내용: 임차보증금 최대 1억 원 → 이자 전액 또는 일부 지원
조건: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신청: GH(경기도주택도시공사) 또는 거주지 시·군청 홈페이지
🧾 요약 비교표
제도명: 청년기본소득
나이: 24세
금액/혜택: 연 100만 원
기간: 1년
형태: 지역화폐
제도명: 면접수당
나이: 18~39세
금액/혜택: 최대 15만 원
기간: 1회성
형태: 지역화폐
제도명: 복지포인트
나이: 18~34세
금액/혜택: 연 120만 원
기간: 2년
형태: 복지몰 포인트
제도명: 노동자통장
나이: 18~34세
금액/혜택: 580만 원 적립
기간: 2년
형태: 자산형성
제도명: 면접정장지원
나이: 18~34세
금액/혜택: 연 3회 무료
기간: 수시
형태: 정장대여
제도명: 청년주거이자
나이: 19~39세
금액/혜택: 이자 전액 or 일부
기간: 2년
형태: 대출 연계
✅ 신청 팁 & 참고 사이트
잡아바(Jobaba): 경기도 청년정책 통합검색 및 신청 가능
경기도일자리재단: 복지포인트, 노동자통장 신청 사이트
경기청년포털: 모든 청년정책 공지 및 알림 구독 가능
정부24: 전국 정책 검색 가능, 병행 참고 추천
🔔 마무리 요약
- 경기도 청년은 기본소득 + 면접수당 + 복지포인트 등 중복 신청 가능합니다.
- 일부 제도는 선착순 or 추첨제이므로 잡아바에서 알림 등록은 필수입니다.
- 특히 거주 기간 요건(예: 3년 이상 경기도 거주 등)을 꼭 확인하세요!
👉 여러분은 어떤 제도가 가장 필요한가요? 지금 바로 클릭해서 지원금 확인하고 신청하세요!